청년도약계좌 5000만 원 목돈 만들기
5년만 잘 모으면 무려 5000만 원이라는 목돈을 만져볼 수 있습니다. 바로 청년도약계좌를 통해서 말입니다. 비과세 70만 원, 가입 후 고정금리 적용 등 장점이 많은 청년도약계좌 잘 활용하셔서 목돈 만들기에 도전해 보세요.
1. 청년도약계좌 출시일
2023년 6월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2. 청년도약계좌 정의
매달 40만 원에서 70만 원을 적금으로 부으면 정부에서는 매월 최대 24000원을 무료로 제공해 주는 시스템입니다.
3. 청년도약계좌 금리
3년 동안 고정금리를 적용해 줍니다. 남은 2년은 변동금리입니다. 추후 경기가 어떻게 바뀔지 예상할 수 없지만 현재 금리 수준으로 보았을 때 3년씩이나 고정금리로 유지시켜 준다는 것은 대세 금리 상승기에 가입자에게 유리합니다. 그리고 일부 조건에 맞는 저소득층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우대금리도 받을 수 있습니다.
4. 최대 납입금액
70만 원입니다.
5. 가입기간
5년 만기 적금입니다.
6. 가입대상
만 19~34세 청년 중에서 소득이 6천만 원 이하이고 소득중위 180% 이하여야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합니다.
7. 정부지원
정부에서 부담하는 기여금 범위는 일률적이지 않고 소득 수준이나 납입 금액 등을 고려해 차등 지원합니다. 물론 제도 취지를 고려했을 때 소득이 낮으면 낮을수록 지원을 더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정부 지원 기여금을 모두 받으려면 총 급여기준으로 개인 소득이 4800만 원 이하면 가능합니다.
총급여 기준 소득 | 납입한도 | 기여금 지급한도 | 매칭비율 | 기여금 한도 |
2400만원 이하 | 70만원 | 40만원 | 6% | 24000원 |
3600만원 이하 | 70만원 | 50만원 | 4.6% | 23000원 |
4800만원 이하 | 70만원 | 60만원 | 3.7% | 22000원 |
6000만원 이하 | 70만원 | 70만원 | 3.0% | 21000원 |
7500만원 이하 | 70만원 | - | - | - |
8. 비과세
이자소득에 대해 과세하지 않습니다.
9. 중도해지
사망, 이민 등 해외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 질병, 생애 최초 주택구입 등 중도해지했지만 특수한 상황으로 간주해 예외적으로 중도해지임에도 불구하고 정부 기여금을 받는 것은 물론 비과세 혜택도 사라지지 않습니다.
10. 소득산정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한 개인 및 가구 소득 기준 시점은 직전 과세기간인 2022년의 소득이 화정 되기 이전까지는 2021년 과세기간 소득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 가입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11. 개인소득 현행화
처음 가입할 때 한 번만 개인소득을 확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현행화 작업을 1년 단위로 해서 기여금 지급여부 및 규모를 조율합니다.
12. 문의처
- 서민금융진흥원 콜센터 1397
- 금융위원회 청년정책과 02-2100-1684
- 서민금융진흥원 청년금융지원부 02-2128-8216
- 은행연합회 디지털 혁신부 02-3705-5326
청년도약계좌 5000만원 목돈 만글기 끝.